수의사 상담

의료 전문 상담이 필요한 분들께 수의사가 직접 답변드립니다!

노견이 어디가 아픈지 정확히 알 수가 없습니다.

  • 작성자 : 조**
  • DATE : 2025.06.22
  • HIT : 40
당뇨 경력으로 1년 6개월 가량 인슐린 주사를 맞고 있는 13살 미니핀(암컷)을 키우고 있습니다. 
한달 전 가량 계속 돌아다니는 서클링 증상을 보였었는데 며칠 뒤 괜찮아져서 일시적 증상인 줄만 알았습니다. 그러다 한 달뒤 다시금 서클링 증상을 일으커서 지켜보았는데 상태가 점점 심해졌고 조금 더 악화되었습니다. 
악화된 뒤 증상은 서클링이 아닌 앉거나 눕는 것에 불편함을 느끼는 것이었습니다. 애초애 서클링이 아닌 가만히 있는 것에 통증을 느끼는 것 같았습니다. 그래서 잠을 거의 자지 못했고 앉거나 누우려고 할 때 낑낑 거리며 우는 걸 반복했습니다. 그러다보니 통증 때문인지 계속 돌아다니는 행동을 만복합니다. 그래서 가까운 병원으로 갔고 여러 부분에서 진료를 받았으나 검사가 이루어지지 않아서 정확히는 알 수가 없습니다. 일단 진통제를 써보자고 하셔서 진통제를 먹으니 통증이 없는지 서클링 증상이 사라지고 괜찮아졌습니다. 
여러 검사를 받으면 알 수 있을지 모르겠으나 현재 경제적인 상황으로 인해 여러 검사를 받지 못하는 상황입니다. 하지만 노견이고 통증의 이유를 찾지 못한다면 병이 악화되리라 생각해 최대한 빠르게 검사가 가능한 병원으로 가려고 하고 있습니다. 다만 모든 검사를 받을 수 있는 상황이 아니고 피검사 엑스레이 정도만 가능한지라 이렇게 여쭤보고 추측이 되는 병이 있다면 그쪽으로 진료를 받아볼까 합니다. 
일시적이긴 했으나 상태가 악화될 시점에 다뇨 증상을 보이기도 했는데 음수량은 크게 늘지 않아 당의 문제는 아닐거라 생각합니다. 그리고 특이점은 다뇨 이후에는 오히려 핍뇨 증상처럼 소변을 적게 보는 모습을 보이기도 했습니다. 약을 먹고 통증이 줄어든 뒤에도 소변을 많이 보지 않았는데 이러한 부분도 함께 봐주시고 상담 해주시면 감사드리겠습니다. 

증상
1. 서클링(집안을 계속 돌아다니는 행동)
2.앉거나 눕는 것에 통증을 느낌(가만히 세워두려고 해도 낑낑댄다는 점에서 1번 행동을 반복치 않으면 통증이 일어나는 듯함)
3. 일시적이나 다뇨와 핍뇨를 보임. 

디스크라거나 외적인 곳의 통증을 느끼는지 상태가 악화될 시점에 이곳저곳을 만져보았으나 통증을 느끼는 것은 아닌 듯 했습니다. 관절과 허리쪽을 만져보아도 통증을 느끼지 않아서 디스크는 아닐거라 생각하고 있긴 합니다. 
 
힐동물병원(해운대) [2025.06.23] 힐동물병원(해운대) 상품 보기
안녕하세요 보호자님, 해운대 힐동물병원입니다.
노령 미니핀 아이가 겪고 있는 증상들로 인해 많이 걱정되실 것 같습니다. 말씀하신 증상과 병력을 종합적으로 봤을 때, 중추신경계(특히 뇌)의 이상 가능성이 우선적으로 고려되며 다른 의심 질환들도 함께 말씀드립니다.

첫번째로 뇌종양, 염증성질환(뇌염, 뇌수막염), 노령성 인지기능장애(CDS)등이 의심됩니다. 서클링 행동, 가만히 있지 못하고 계속 움직이려는 행동, 앉거나 눕는 자세 취할 때 불편함은 중추신경계, 특히 전정계 또는 대뇌 이상에서 흔히 나타납니다. 13세 고령인 점과 말씀주신 증상들은 노령성 치매(CDS)와 증상이 유사하며 해당 질환은 신경학적 검사를 통해 추정하고 약물 및 관리로 증상을 완화시킬 수 있습니다.

두번째로 만성 통증성 질환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습니다. 특정 부위를 눌렀을 때 반응이 나타나지 않는 경우도 있어 만져서 반응이 없다고 반드시 통증도 없는 것은 아닙니다. 추간판질환, 관절염 혹은 내장기 문제도 고려됩니다.

세번째로 신장 관련 이상 가능성이 있습니다. 다뇨와 핍뇨, 수분 섭취 변화, 고령, 당뇨병 이력 등을 고려할 때 신장 기능 악화 또는 전해질 이상 가능성도 있습니다. 피검사와 뇨검사를 통해 최소한의 신장 상태 확인이 필요합니다.

혈액검사, 전해질검사, 뇨검사, 흉복부 엑스레이 검사를 진행하시면 1차적인 감별은 충분히 가능합니다. 뇌영상 진단(MRI 등)은 정확한 판단에 매우 중요하나 위 말씀드린 검진 항목을 진행하신 후 보존적 치료 반응을 먼저 확인하는 것도 현실적인 접근입니다. 증상 조절을 위한 약물 치료로도 상태를 어느 정도 안정시킬 수 있습니다.

보호자님의 세심한 관찰과 빠른 판단이 아이의 삶의 질을 높이는데 큰 도움이 될 것 입니다.


수의사 상담에 대한 답변은 아이를 직접 확인하지 못한 상태, 글로 확인한 증상과 사진으로만 판단한 일차적인 답변입니다.
실제 검사 결과에 따라 확진 내용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